K-패스 제도는 최근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정책 중 하나입니다. 특히 올해부터 다자녀 가구 유형이 신설되어, 자녀가 2명인 가구는 30%, 3명 이상인 경우에는 50%의 환급률을 적용받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K-패스 제도와 다자녀 가구 유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K-패스 제도
K-패스는 한국에서 공공교통비를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환급 혜택을 제공하여,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특히 시내버스, 광역버스, 신분당선과 GTX 등을 포함한 도시·광역철도를 포함하는 바, 이용금액 중 높은 금액 순으로 2건에 대해 환급받을 수 있다.
올해부터 K-패스 제도에 다자녀 가구 유형이 신설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자녀가 2명인 가구는 30%, 자녀가 3명 이상인 경우에는 50%의 환급률을 적용받게 됩니다. 이는 일반층 대비 각각 10%p, 30%p 높은 환급률로 자녀가 3명 이상인 이용자 A씨(만 40세)는 요금 1500원인 대중교통 60회를 탑승할 경우 다자녀 유형 신설로 2만 7000원의 추가 환급이 가능합니다.
한편 올해부터 K-패스 참여 지자체는 기존 189개 기초 지자체에서 김제, 문경, 속초 등 21개 지자체가 추가 참여해 210개 기초 지자체로 확대된다. 아울러 K패스-경기(The경기패스), K패스-인천(인천I-패스) 등에 이어 광주광역시, 경상남도도 1월부터 지자체 맞춤형 K-패스를 시행해 지역별 혜택을 확대한다.
특히 K-패스 참여 카드사도 기존 11개 카드사에서 13개 카드사로 확대해 이용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카드도 27종에서 32종으로 늘어날 예정이다.
K-패스를 통해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은 환급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가계 부담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환급률 안내
K-패스의 환급률은 이용자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일반 사용자에게는 20%의 환급률이 제공되며, 청소년은 30%, 저소득층은 53.3%의 환급률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다자녀 가구는 자녀 수에 따라 30%에서 50%까지 환급률이 상향 조정됩니다. 이러한 혜택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가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지원 대상
K-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에 주민등록상 등록된 만 19세 이상 주민
적립 수단
버스(광역버스 포함), 도시·광역철도(신분당선, GTX 등 포함), 공항철도 등이 해당됩니다.
다만, 시외(고속)버스, KTX, SRT, 공항버스 등 별도로 발권받아 탑승가능하고, 타 교통수단과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 교통수단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 |
![]() |
![]() |
지급 기준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지급, 가입 첫 달은 15회 미만 이용 시에도 지급됩니다.
:: 이용횟수 기준으로는 30분 이내 승하차 시 이용 횟수 1회로 취급됩니다.
:: 1일 최대 2회까지만 적립됩니다. 일 2회 초과 이용자는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2회까지 지급됩니다.
:: 월 60회 초과 이용자는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60회까지 지급됩니다.
:: 월 대중교통 이용금액 20만원 초과 시 초과 이용금액에 대해서는 50%만 적용하여 지급(경기,인천은 해당하지 않음)됩니다.
▼▼▼▼ 지급일, 최대 지급 금액 등에 관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korea-pass.kr/info/use_pay.do
K-패스
K-패스 홈페이지
korea-pass.kr
적립률
:: 일반 - 20% 적립
:: 청년 - 30% 적립
* [청년기본법]에 따른 만19세~34세
:: 저소득층 -53% 적립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저소득 적립률은 앱이나 홈페이지에 로그인 후 [MY > 저소득정보] 화면에서 신청하실 수 있으며, 신청결과 저소득 대상자 여부 “정상”인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이용방법
::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K-패스 회원전환 시 사용 중인 알뜰교통카드와 계정 그대로 K-패스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 K-패스 카드 신규 가입
K-패스 카드 발급 (알뜰교통카드도 회원가입이 가능합니다.) ▶︎ K-패스 회원가입 ▶︎ K-패스 교통카드로 전국 대중교통 이용 시 이용금액의 일정 비율을 적립 및 지급
▼▼▼▼K-패스 회원가입 페이지 링크입니다. https://korea-pass.kr/join/join.do
K-패스
K-패스 홈페이지
korea-pass.kr
K-패스 회원가입 절차
회원가입 화면 진입 (홈페이지 또는 앱)
▼
발급된 카드의 카드번호 15~16자리 입력 후, [유효성 체크] 클릭
▼
필수약관 모두 동의 시 본인명의 휴대폰 또는 공동인증서로 본인인증 진행
▼
주민등록번호(외국인등록번호) 입력 후 주소지 검증 실시
주거지 사실여부 확인 불가 시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후 1개월 이내 발급받은 주민등록등(초) 본/국내 거소(주거지) 사실 증명서(외국인)를 MY > 나의 지자체 메뉴에 등록해 주세요.
▼
필수 회원정보 입력 후 가입 완료
다자녀 혜택 내용 및 신청방법
:: 혜택 내용
다자녀 혜택은 자녀가 2명 또는 3명 이상이고, 미성년 자녀가 1명 이상 포함된 부모를 대상으로 30%~50%의 혜택을 받으실 수 있는 제도입니다.
* 자녀가 모두 성년이면 혜택이 적용되지 않으며, 혜택 적용 중 미성년 자녀가 모두 성년이 됐을 경우 혜택이 종료됩니다.
* 다자녀 혜택 신청은 실시간 검증과 서류등록을 통하여 신청하실 수 있으며, 실시간 검증은 주민등록등본 상의 세대원을 기준으로 조회되기 때문에 실시간 검증 후 자녀 등록이 추가로 필요하실 경우에 서류 등록(가족관계증명서)으로 추가 등록을 하실 수 있습니다.
![]() |
![]() |
서류 등록 시 관리자의 승인의 필요하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승인 시 신청일 기준으로 혜택이 적용됩니다.
* 실시간 검증 후 자녀 등록 추가가 불필요하신 분께서는 서류등록을 진행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다자녀 혜택은 다른 혜택과 중복되지 않고, 혜택 중 적립률이 가장 높은 혜택만 적용됩니다.
:: K-패스의 다자녀 혜택을 신청방법
1. K-패스 공식 홈페이지나 앱에 회원 가입을 해야 합니다.
2. 주민등록등본 또는 가족관계증명서를 제출하여 다자녀 가정임을 인증받아야 합니다. 인증이 완료되면, 다자녀 혜택 신청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가족관계증명서 발급 사이트 링크입니다. https://efamily.scourt.go.kr/index.jsp
대한민국 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사용자지원센터 1899-2732, (031-776-7878) 월~금요일 (09:00~18:00) / 토 · 일요일 및 공휴일은 휴무 사이트 내 전체검색
efamily.scourt.go.kr
이 과정을 통해 다자녀 가구 유형의 환급률은 실시간 검증이 완료되거나 증빙 서류가 최종 확인된 시점부터 적용됩니다.
K-패스의 장점
K-패스 제도의 가장 큰 장점은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고, 가계 부담을 줄여준다는 점입니다. 특히 다자녀 가구는 경제적 지원을 통해 더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또한, K-패스를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활성화되면, 환경 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K-패스는 누구나 신청할 수 있나요?
K-패스는 19세 이상으로,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모든 시민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다자녀 가구 인증은 어떻게 하나요?
K-패스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다자녀 정보' 메뉴를 통해 실시간 검증을 진행하면 됩니다.
환급은 언제 받을 수 있나요?
환급은 신청 후 일정 기간 내에 처리되며, 정확한 기간은 K-패스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K-패스 제도는 다자녀 가구를 포함한 많은 시민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모든 분들이 이 제도를 통해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추가적인 정보는 K-패스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