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연말정산 출산,양육,주거분야,기부금 바뀐 내용 알아보기

by bycobb 2025. 1. 12.

연말정산은 많은 근로자들에게 중요한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회입니다. 2024년 귀속 연말정산에서는 출산·양육 지원, 주거부담 완화, 기부·소비진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가 예고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4년 귀속 연말정산에서 달라지는 주요 사항들을 알아보고, 이에 따라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연말정산은 근로소득자가 매년 정산을 통해 자신이 납부한 세액을 다시 확인하고, 세액 공제 및 환급을 받을 수 있는 절차입니다. 이는 세금의 부담을 줄이고, 다양한 세제 혜택을 통해 가계의 재정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입니다. 많은 경우 이 과정을 통해 몇십만 원의 세액 환급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출산·양육 지원 강화!

2024년에는 출산·양육 지원이 강화됩니다. 특히 출산 및 육아에 대한 비과세 한도가 상향 조정되어, 부모님들에게 더욱 많은 혜택이 주어질 예정입니다. 이는 다자녀 가구를 지원하고, 출산 장려 정책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전보다 많은 금액을 세액 공제로 받을 수 있어 가계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결혼세액공제 신설

2024년부터 혼인신고를 한 근로자는 50만 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결혼을 장려하고 신혼부부의 초기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신혼부부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자녀세액공제 확대

8세부터 20세 이하 자녀가 2명 이상인 경우, 기존 공제금액에서 5만 원이 추가 공제됩니다. 자녀가 많은 가정일수록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다자녀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출산지원금 비과세 확대

자녀 출생 후 2년 이내에 지급되는 출산지원금이 최대 2회까지 전액 비과세로 처리됩니다. 이는 출산을 장려하고, 가정의 출산 관련 비용 부담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의료비 공제 확대

6세 이하 자녀의 의료비는 전액 공제되며, 총 급여가 7천만 원을 초과하는 근로자도 산후조리원비를 200만 원 한도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영유아 자녀를 둔 가정의 의료비 부담을 완화하고, 산후조리원비 공제 혜택을 더 많은 가정이 누릴 수 있도록 범위를 넓힌 것입니다.

 

주거부담 완화 혜택 확대

주거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도 변화합니다. 특히 월세 세액 공제의 대상을 확대하고, 소득 요건을 완화하여 무주택 근로자 및 성실 사업자 등이 더욱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2024년부터는 총 급여 8천만 원 이하의 무주택자들이 월세 세액 공제를 신청할 수 있게 되어, 주거비 부담을 덜 수 있는 기회가 제공합니다.

 

이와 함께 주택자금의 세액 공제 역시 확대되어, 주택 구매를 고민하는 가구에 추가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소득공제 확대

2024년부터 장기주택저당차입금의 소득공제 한도가 최대 2천만 원으로 상향됩니다. 또한, 주택 기준시가가 5억 원에서 6억 원으로 상향되어, 더 많은 근로자가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월세액 세액공제 확대

총급여 8천만 원 이하 근로자도 연간 월세액 중 1천만 원 한도로 15%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월세 거주자의 주거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책으로, 중산층 근로자까지 혜택 범위를 확대했습니다.

 

주택청약 납입액 공제 확대

주택청약 납입액 공제 한도가 연 240만 원에서 300만 원으로 상향됩니다. 이는 청약저축을 통해 주택 마련을 계획하는 근로자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할 것입니다.

기부·소비진작을 위한 혜택 강화

2024년에는 기부와 소비 진작을 위한 세제 혜택도 강화됩니다. 기부금 세액 공제 비율이 상향 조정되고, 소비 진작을 위한 카드 사용에 대한 세액 공제도 확대됩니다. 이러한 변화들은 소비 활성화와 동시에, 사회적 기여를 독려하는 방향으로 나아갑니다.

 

특히, 카드 사용 시 소득 공제를 받을 수 있는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경제적 여유가 생길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는 소비를 통해 우리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기부금 세액공제 확대

2024년 한 해 동안 기부금이 3천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40%의 공제율이 적용됩니다. 이는 고액 기부자들에게 더욱 유리한 세제 혜택을 제공하여 기부 문화를 촉진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신용카드 소득공제 확대

2024년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사용금액이 전년 사용 금액보다 5% 초과 시, 소비 증가 금액의 10%를 소득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공제 한도는 100만 원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소비를 장려하고 내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연말정산 신청 기간 및 방법

2024년 귀속 연말정산의 신청 기간은 2025년 1월 15일부터 2월 15일까지입니다. 이 기간 동안 국세청 홈페이지를 통해 연말정산을 신청할 수 있으며,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여 온라인으로 제출하면 됩니다.

또한, 모바일 앱을 통해서도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앱은 여기서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go.nts.android&hl=ko

 

국세청 홈택스 [손택스] - Google Play 앱

손택스앱이 Play스토어에서 정상적으로 설치되지 않는 경우, 원스토어 앱을 이용하여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국세상담센터 ☎126

play.google.com

 

애플 앱은 여기서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apps.apple.com/kr/app/%EA%B5%AD%EC%84%B8%EC%B2%AD-%ED%99%88%ED%83%9D%EC%8A%A4-%EC%86%90%ED%83%9D%EC%8A%A4/id495157796

 

‎국세청 홈택스 [손택스]

‎* 국세청 모바일 홈택스 [손택스] - 국세상담센터 (국번없이) 126 국세청 모바일 홈택스 [손택스] 앱에서는 회원가입, 세금신고·납부, 국세민원, 장려금 신청,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 현금영수

apps.apple.com

 

 

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본인의 소득 및 세액 공제 항목을 확인하고, 둘째, 필요한 서류를 준비한 후, 셋째, 국세청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을 통해 신청하는 방식입니다. 필요한 서류로는 소득증명서, 기부금 영수증, 월세 계약서 등이 있습니다.

 

 


2024년 귀속 연말정산에서 달라지는 사항들은 많은 근로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출산·양육 지원, 주거부담 완화, 기부·소비진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변화는 가계 경제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올해는 더욱 철저히 연말정산을 준비하여, 최대한의 세제 혜택을 누리시기 바랍니다.